이 글은 2025 주택청약 1순위 달성을 목표로 최신 제도를 반영해 실전 체크리스트로 정리했습니다. 공공분양(국민주택)과 민영주택의 1순위 요건은 다르며, 지역·전용면적에 따른 예치금 기준도 별도로 존재합니다. 특히 2024년 11월부터 청약통장 월 납입 인정액이 10만원→25만원으로 상향돼 2025년엔 전략 납입이 더 중요합니다. 아래 가이드를 그대로 따라 하면 2025 주택청약 1순위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집니다.
빠르게 훑는 핵심 요약
- 공공분양 1순위(국민주택): 지역별 가입기간 + 납입횟수 충족이 핵심. (규제지역은 보통 24개월·24회)
- 민영주택 1순위: 가입기간 + 예치금이 기준. (서울·부산 85㎡ 이하는 예치금 300만원 등)
- 월 납입 인정액 25만원: 2024.11부터 적용. 공공분양 저축총액 형성 속도 ↑
- 가점/추첨: 규제지역 85㎡ 이하는 가점제 비중이 큼. 85㎡ 초과는 혼합 적용 사례 다수
용어 한 번에 정리
- 주택청약종합저축: 공공분양·민영분양 모두 신청 가능한 통장(월 2만~50만원 자유적립).
- 납입 인정액: 공공분양 당첨자 선정 시 월별로 인정되는 금액(2024.11~ 월 25만원).
- 예치금: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자격을 위한 지역·면적별 최소 잔액 기준.
공공분양(국민주택) 1순위 되는 법
국민주택 1순위는 가입기간과 납입횟수를 입주자모집공고일 기준으로 충족해야 합니다. 시·도지사 공고로 강화될 수 있으니, 지원 단지의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지역별 1순위 기준(가입기간·납입횟수)
구분 | 가입기간 | 납입횟수 | 비고 |
---|---|---|---|
투기과열·청약과열지역 | 24개월 이상 | 24회 이상 | 세대주·무주택 요건 등 개별 공고 확인 |
수도권(규제지역 외) | 12개월 이상 | 12회 이상 | 지역 요건 상이 |
수도권 외 | 6개월 이상 | 6회 이상 | 지자체에 따라 상향 가능 |
위축지역 | 1개월 이상 | 1회 이상 | 완화 기준 |
월 납입 인정액 25만원 덕분에 규제지역 기준 24회만 납입해도 인정 저축총액이 600만원(25만원×24회)에 도달합니다. 단, 국민주택은 저축총액이 많은 순 등 순차제 세부기준이 적용되므로 가능한 한 성실 납입이 유리합니다.
민영주택 1순위 되는 법
민영은 가입기간과 예치금이 핵심입니다. 통장에 예치금액만 충족하면 회당 납입액의 크기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예치금은 청약 신청일 기준 충족해야 하며, 기준 지역은 거주지(주민등록상)입니다.
지역·면적별 민영 예치금 표
구분 | 85㎡ 이하 | 102㎡ 이하 | 135㎡ 이하 | 모든 면적 |
---|---|---|---|---|
서울·부산 | 300만원 | 600만원 | 1,000만원 | 1,500만원 |
기타 광역시 | 250만원 | 400만원 | 700만원 | 1,000만원 |
기타 시·군 | 200만원 | 300만원 | 400만원 | 500만원 |
가점제·추첨제 한눈에
- 규제지역의 전용 85㎡ 이하는 가점제 비중이 매우 큽니다.
- 전용 85㎡ 초과 물량은 가점·추첨 혼합 적용 사례가 많아 무주택자에게도 기회가 확대됩니다.
- 단지별 당첨 방식과 비율은 입주자모집공고에서 최종 확인하세요.
실전 체크리스트 (바로 적용)
- 통장 점검: 주택청약종합저축 보유 여부·가입일·지역 확인.
- 공공분양 준비: 목표 납입횟수 설정(12/24회). 월 25만원 인정 활용해 저축총액 가속.
- 민영 준비: 내 거주지·희망 평형의 예치금 충족(부족 시 청약 신청 전 충전).
- 무주택·세대주: 요건 미비 시 이전 주소이력·분리세대 등 사전정비.
- 공고문 루틴: 청약홈 즐겨찾기→ 신규 공고 알림·모의청약으로 실수 방지.
자주 묻는 질문 (FAQ)
Q1. 2025 주택청약 1순위, 공공분양과 민영주택 중 어디가 유리하나요?
공공분양은 가입기간·납입횟수·무주택 등 자격 요건이 명확한 대신 경쟁 시 저축총액 순 등 순차제가 적용됩니다. 민영은 예치금만 충족하면 1순위 진입이 가능하지만 규제지역·면적에 따라 가점/추첨 비율이 달라 전략이 필요합니다. 청약홈의 입주자모집공고에서 단지별 당첨방식을 확인한 뒤, 나의 가점·무주택기간·부양가족 수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2. 월 납입 인정액이 25만원이면 매달 25만원을 꼭 넣어야 하나요?
인정한도가 25만원으로 오른 것은 최대 인정 한도를 뜻합니다. 매달 25만원을 넣어야만 하는 의무는 아니지만, 공공분양에서는 인정액 기준의 저축총액이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 목표 단지의 경쟁도를 감안해 10만원→25만원 상향 전략을 고려하세요. 다만 민영주택은 예치금 충족이 본질이므로, 청약 신청 전 일시 증액으로도 대응 가능합니다.
Q3. 예치금은 언제까지 맞추면 되나요? 거주지는 어디 기준인가요?
예치금은 청약 신청일 기준으로 충족해야 1순위가 인정됩니다. 따라서 통장 잔액은 신청 직전이라도 기준금액에 도달하면 됩니다. 지역 기준은 분양지 주소가 아니라 주민등록상 거주지입니다. 서울·부산, 기타 광역시, 기타 시·군의 구간별 예치금이 다르므로, 신청 전 내 전입지 기준으로 표의 금액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Q4. 2025 주택청약 1순위 준비, 무엇부터 시작할까요?
① 통장 가입일·거주지·세대구성 확인 → ② 공공분양 노리면 월 25만원 인정 활용해 납입횟수·총액 관리 → ③ 민영 노리면 내 거주지·평형의 예치금을 청약 전까지 충족 → ④ 내 가점(무주택기간·부양가족·통장가입기간) 진단 → ⑤ 청약홈에서 입주자모집공고·모의청약으로 실수를 줄이세요. 이 과정을 따라가면 2025 주택청약 1순위 달성이 수월해집니다.
0 댓글